전체 글35 로컬푸드 속초 명태 껍질 저염 튀각 버려졌던 자원이 건강식이 되다 – 명태껍질의 부활속초는 동해안의 대표적인 수산 도시이자, 예부터 ‘명태의 고장’으로 널리 알려진 지역입니다. 특히 이 지역의 명태는 겨울철 북동풍과 함께 내려오는 차가운 바닷물 속에서 자라 육질이 단단하고 신선도가 뛰어나기로 유명합니다. 수심이 깊고 해류 흐름이 일정한 속초 인근 해역은 명태가 서식하기에 최적의 환경을 갖추고 있어,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명태는 속초를 대표하는 수산물로 자리매김해 왔습니다. 흔히 명태는 알과 살코기 위주로 소비되며, 껍질은 가공 과정에서 제거되고 폐기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앞서 포스팅에서 사과 껍질의 활용에 대해서 소개를 했는데, 이번에는 명태 껍질에 대한 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 명태 껍질 역시 예전에는 버려지는 게 대부분이었지만, 최근.. 2025. 7. 2. 청송 사과껍질을 활용한 천연 잼과 무설탕 페이스트 만들기 왜 청송 사과껍질인가? – 버려지던 식재료 속 놀라운 가능성경상북도 청송은 ‘사과의 고장’이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이는 단순한 표현이 아니라 실제로 청송군 전체가 과수 재배에 최적화된 자연 조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해발 평균 250~400m 이상의 고지대에 위치한 청송은 일교차가 크고, 강수량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공기가 맑고 병충해가 적은 지역으로 평가받습니다. 이런 자연 조건 덕분에 청송에서 자란 사과는 당도는 높고 산미는 깔끔하며, 과육이 단단하고 저장성이 뛰어난 고품질 품종으로 자리 잡았습니다.실제로 청송 사과는 오래 전부터 국내 각종 품평회에서 우수 품질 인증을 받았으며, 일부는 해외 프리미엄 시장에도 수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소비자들은 사과의 '껍질'에 대해 주목하.. 2025. 7. 2. 제주 로컬푸드 한라산 조릿대의 재발견 조릿대란 무엇인가? 제주 자생 식물의 가치조릿대는 대나무과 식물로, 엄밀히 말하면 대나무와는 다른 상록 다년초에 해당합니다.다 자라면 키가 1~2m에 이르며, 초록색의 가늘고 단단한 줄기와 뾰족한 잎을 가지며 주로 고산지대나 음지의 숲속에서 자생합니다.한반도 전역의 높은 산지에 분포하는 식물이지만, 주로 제주 한라산 고지대에 밀집 군락을 이루며 자라고 있어서 제주도 조릿대가 더 많이 알려져있습니다. 제주 조릿대는 해발 600m 이상의 중산간 지역에서 자라며, 자연 상태에서 인공적인 개입 없이 생장합니다. 이 지역은 기온 차가 크고 토양이 화산재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조릿대가 건강하게 자라기에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이런 환경 덕분에 한라산 조릿대는 국내 조릿대 중에서도 약효가 높고, 조직이 단단.. 2025. 7. 1. 여수 갓, 로컬푸드의 보석이자 항산화 식재료의 대표주자 대한민국 남해안, 그 중에서도 전라남도 여수는 기후와 토양이 특별하게 어우러져 독특한 농산물을 생산하는 지역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여수 갓’은 전국적으로도 독보적인 품질을 자랑하며, 단순한 김치 재료를 넘어 현대인의 건강을 책임질 수 있는 슈퍼푸드로 재조명받고 있다. 아마 여수를 방문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여수 갓김치에 대한 정보를 한번쯤은 다 들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면역력 강화, 항산화 기능, 식이섬유 공급 등 다양한 건강 혜택을 제공하는 식재료들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중심에 여수 갓이 자리하고 있습니다.여수 갓은 일반 갓과는 차별화된 향과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풍을 맞고 자라는 여수 갓은 유난히 매운맛과 쌉싸래한 향이 .. 2025. 7. 1. 강원도 철원의 자부심, 오대쌀의 역사와 영양소 완전 분석 철원 오대쌀, 단순한 쌀이 아닌 로컬 푸드의 정수한국인은 밥심이라고 하죠? 그만큼 대한민국에서 ‘쌀’은 단순한 곡물이 아닌 한민족의 식문화를 지탱해온 핵심 식재료입니다.그 중에서도 강원도 철원에서 생산되는 ‘오대쌀’은 명실공히 국내 최고의 품질을 자랑하는 쌀 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철원 오대쌀은 단지 밥맛이 좋은 쌀이라는 평가를 넘어 지역의 기후와 토양, 농업 철학이 조화를 이루며 만들어진 로컬푸드의 대표 사례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지역성’, ‘친환경’, ‘기능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이 높아지면서, 철원 오대쌀은 단순한 곡물이 아닌 브랜드 곡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철원 오대쌀의 역사 – 휴전선 너머 황금 들판의 부활철원은 본래 한반도 최북단의 대표적인 곡창지대로, 조선시대에도 뛰어난 쌀 생산지로 기록.. 2025. 7. 1. 경남 함양 산양삼으로 만드는 숙취 해소 건강차 지리산 자락, 함양이 품은 산양삼의 진가경남 함양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된 약초 재배지 중 하나로 손꼽히며, 특히 지리산 자락의 청정 자연환경은 고품질 산양삼을 키워내는 데 최적의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 지역은 해발 고도가 높고 일조량이 풍부하며, 큰 일교차와 유기물이 풍부한 산림 토양을 지니고 있어, 산양삼이 천천히 자라면서도 야생삼에 가까운 약리 효과를 보유하게 됩니다.산양삼’은 일반 재배삼이나 홍삼 제품과는 뚜렷한 차별점을 지닌 고급 인삼입니다. 산양삼은 단순히 밭에서 기계적으로 대량 재배한 인삼이 아니라, 야생삼의 종자를 깊은 산속의 숲지대에 파종하여, 자연 상태에 가까운 방식으로 장기간 기르는 재배법을 의미합니다. 즉, 산양삼은 인공적인 관리를 최소화하고, 해발 500~800m 이상 고지대의 .. 2025. 6. 30. 이전 1 2 3 4 5 6 다음